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해외직구, 입항일 같아도 합산과세 면제 받으려면 11월 17일(목)부터 ‘입항일이 같은 2개 이상의 해외직구 물품’에 대한 합산과세를 면제. 기존 합산과세제도(22년 11월 17일 이전) 물품 가격이 150달러(미국발(發) 200달러) 이하인 자가 사용 해외직구 물품에 대해서는 관세º부가세가 면제되지만, 각각 다른 날에 구매한 2개 이상의 물품이 같은 날 국내 입항된 경우에는 물품 가격을 전부 합산하여 관세º부가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각 물품들이 소액 자가 사용물품에 해당하더라도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 [사례] 중국 해외직구로 12월6일 의류(150달러), 12월 10일 완구(100달러)를 구매했는데, 해외 운송이 지연되면서 모두 12월 26일 국내 입항하게 된 경우 · 의류, 완구는 합산과세 대상(∵입항일 동일) → 7만원 세금 부담 .. 2023. 1. 4.
2026 월드컵 개최지, 48개국, 달라지는 것들, 본선방식 2026년 대회, 사상 최초 3개국(미국, 캐나다, 멕시코) 공동개최 국제축구연맹(FIFA)가 지난 6월 17일(한국시각) 2026 북중미 월드컵 개최 도시를 확정한 후 공식 발표했습니다. 사상 최초로 3개국이 공동 개최하는 2026년 대회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의 16개 도시에서 열립니다. 미국은 11개 도시에서 2026 월드컵 경기를 개최합니다. 멕시코는 3개 도시, 캐나다는 2개 도시를 선정했습니다. FIFA는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서 뉴욕/뉴저지, 필라델피아, 보스턴, 마이애미, 애틀랜타, 휴스턴, 댈러스, 캔자스 시티, LA, 샌프란시스코, 시애틀을 미국의 개최 도시로 선정했습니다. 멕시코에서는 수도 멕시코시티를 비롯해 과달라하라, 몬테레이가 개최 도시로 결정됐으며 캐나다에서는.. 2023. 1. 4.
2023년 달라지는 것들 -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내년 1월 1일부터 우유류를 제외한 모든 식품에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을 표시하는 '소비기한 표시제' 시행 소비기한이란 식품 등(건강기능식품 포함)에 표시된 보관 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하여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말합니다. (영문명 예시 : Use by date, Expiration date, EXP, E) 유통기과의 차이점 유통기한: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Sell-by date) 소비기한은 소비자 중심의 표시제로써 식품의 맛‧품질 등이 급격히 변하는 시점을 설정실험 등으로 산출한 품질안전한계기간의 80~90%로 설정한 것이고, 유통기한은 영업자 중심의 표시제로서 품질안전한계기간의 60~70%로 설정한 것 도입배경 그동안 소비자가 유통기한을 식품의 폐기시점으로.. 2023. 1. 4.
2023년 달라지는 것들 - 우회전 신호등 내년부터 교통사고가 잦은 교차로에는 ‘우회전 신호등’이 집중 설치 설치배경 우회전 신호등이 대거 설치·운영되면, 최근 새 도로교통법 시행으로 운전자가 횡단보도 앞 일시정지 해야 할 의무와 관련한 혼선도 잦아들 전망이다. 지난달 새 법 시행으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하려고 하는 때’에도 운전자는 일시 정지해야 할 의무가 생겼다. 기존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때’만 차량을 멈추면 됐지만,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려고 하는지도 살피도록 운전자 의무가 확대된 것이다. 경찰은 특히 교차로에서 전방 차량 신호등이 ‘빨간불’일 때 우회전하는 경우 일시 정지한 뒤 보행자 유무를 파악하고 운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럼에도 보행자가 없더라도 신호가 바뀔 때까지 정지하는 등 현장에 혼란이 있자 차라리 우회전 .. 2023. 1. 4.